2021년 04월 05일

특집: 코로나19 백신의 정치와 외교(1)
싱가포르의 백신 구매 외교, 접종 효과 및 시사점

이제 세계 각국이 백신 접종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전쟁을 치르고 있다. 아시아 각국도 누가 먼저 백신을 많이 확보하는가, 백신 접종 후 어느 나라가 먼저 집단면역에 성공하는가 등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한편 백신 개발과 생산에 성공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이 백신을 외교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각국의 백신 정치와 외교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들이 교훈을 얻고자 한다.
2021년 04월 05일

아시아가 가는 길: 디지털 플랫폼 사회와 한국

코로나19는 디지털 플랫폼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시키면서 글로벌 질서 뿐 아니라 아시아 사회와 경제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이 미국과 중국에 집중되다보니, 미중간 디지털 냉전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졌고, 심각한 국가간 불평등과 데이터 식민화를 초래할 위험도 늘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우리는 데이터 주권을 지키면서, 아시아 각국과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구글을 비롯한 글로벌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공백을 메우고, 국내 디지털 산업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를 해소할 제도적 혁신이 절실하다. 또한 아시아 각국과의 다자간 협력으로 건강한 플랫폼 사회로 이행할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2021년 04월 05일

창간사: 아시아의 인식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오늘날 우리는 중대한 전환기를 맞았다. 첫째, 디지털혁명의 가속화,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대외 팽창, 북핵 위협,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포스트 코로나의 새로운 시대가 등장하고 있다. 둘째, 세계의 중심이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미중 패권경쟁의 핵심 공간이 아시아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셋째, 이제 한국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새로운 비전과 성취 전략을 세우고 이를 선도해 나가는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 아래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가 <아시아 브리프(Asia Brief)>를 창간하게 되었다.
2021년 02월 15일

Temp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