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을 기획한 편집자 노트>
이제 코로나사태는 방역전쟁에서 백신전쟁으로 바뀌고 있다. 아시아 각국이 누가 먼저 백신을 확보하는가, 백신 접종후 어느 나라가 먼저 집단면역에 성공하는가 등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한편 백신 개발과 생산에 성공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이 백신을 외교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현안과 정책>>은 아시아 각국의 백신 정치와 외교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들이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집을 기획한 편집자 노트>
이제 코로나사태는 방역전쟁에서 백신전쟁으로 바뀌고 있다. 아시아 각국이 누가 먼저 백신을 확보하는가, 백신 접종후 어느 나라가 먼저 집단면역에 성공하는가 등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한편 백신 개발과 생산에 성공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이 백신을 외교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현안과 정책>>은 아시아 각국의 백신 정치와 외교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들이 교훈을 얻고자 한다.
I am text block. Click edit button to change this text.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Ut elit tellus, luctus nec ullamcorper mattis, pulvinar dapibus leo.
Tag:
Covid-19, 방역, 강대국 정치, 대미외교, 미중경쟁, 한중일, 국제협력
전재성. (2020). 『동북아 국제정치의 특징과 새로운 미래의 전망』, 『다양성+Asia』, 10, http:/diverseasia.snu.ac.kr/?p=4598.
박재완, 최기웅. (2020). 「코로나19 이후 미·중 갈등과 국제질서의 변화 전망」. 『한국과 국제사회』 제4 권 4호. 한국정치사회연구소. 87-109.
김정한. (2020). 「코로나 사태 속 미국과 중국의 대외적 접근 및 향후 전망」. 『주간금융브리프』」 제 2권9 10호. 한국금융연구원. 3-.
배정원. 2020년 4월 5일. “코로나19, 대공황 수준 경제 위기, 세계질서 영원히 바꿔놓을 것”. 인터넷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