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09일

2024년 아시아 회고: 서아시아의 2024년

2024년 서아시아에서는 가자지구 전쟁이 장기화되고 레바논까지 확전되며 중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스라엘이 하마스와 헤즈볼라를 약화시키고 이란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드러내며 서아시아의 세력 균형이 이스라엘에게 유리하게 기울었다. 한편 튀르키예와 이란에서는 선거에서 변화를 향한 국민의 의지가 드러났다.
2024년 12월 09일

2024년 아시아 회고: 동남아시아의 2024년

동남아 관련 5대 사건은 국내 이슈가 인근 지역과 주고받는 상호 영향, 개별 국가의 핵심 이슈, 국내 이슈의 역내 연계성 등을 고려하며 선정되었다. 관련 내용은 미얀마 내전의 고조와 아세안·중국·유엔, 인도차이나반도의 아세안익스프레스와 캄보디아·필리핀·베트남의 남중국해, 베트남 총서기 응우옌푸쫑 시대의 폐막과 새로운 지도자, 인도네시아와 태국의 가족 정치, 태국의 동성 결혼 법안 통과 등이다.
2024년 12월 09일

2024년 아시아 회고: 갈등과 공존의 갈림길에 선 동북아시아의 2024년

2024년 동북아시아는 연초 대만 총통선거의 민진당 후보 승리로 인한 양안관계 긴장 유지, 북한의 대남공세 강화와 한·미·일 안보체제 강화로 인한 한반도 주변 정세의 악화, 그리고 북·러 군사동맹 조약 체결, 연말 트럼프의 재집권 확정 등으로 인하여 탈냉전 이후 긴장과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으며 내년에는 또 한 번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동북아시아와 정부와 시민사회의 현명한 대처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한 해였다.
2024년 11월 25일

미국 대선과 아시아: 인도

대부분의 국가와 달리 인도의 모디 총리는 트럼프의 귀환을 환영하고 있다. 트럼프 1기 시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던 양국은 2기 트럼프와 3기 모디 시대에 두 지도자 간 브로맨스를 강화하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디 정부로서는 무역, 취업비자 등 일부 분야에서 어느 정도 타격을 각오해야 하겠지만 대중 견제, 러시아와의 친밀한 관계, 파키스탄 고립 등 대부분의 주요 전략적 이해관계에 큰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보기에 트럼프의 귀환을 적극 환영하고 양국 관계에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대한 기대감으로 양국 관계 증진에 노력할 것으로 사료된다.
2024년 11월 25일

트럼프 2.0과 아프리카

올해 11월 5일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 후보를 물리치고 제47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전 세계는 트럼프의 귀환이 자국에 미칠 영향을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프리카도 예외가 아니다.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아프리카 외교를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