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4월 19일

특별기획: 클래식 음악가들, 유튜브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2)
음악 연주로 만나는 유튜버 세상

어릴 때부터 나는 음악가와 훌륭한 교육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한길만을 걸어왔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나의 꿈 또한 많이 바뀌었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나의 결정도 결코 쉽지 않았다. 나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경험과 실패를 공유하며 유튜버로서 걸어온 길과 앞으로 가야 할 길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2023년 04월 24일

특집: 초거대 AI의 미래(1)
챗GPT에게 묻는 한국의 미래

인간처럼 사고하는 ‘인공지능’은 수 십년 동안 SF 영화에서나 등장하는 상상의 이야기였다. 그러나 최근 소개되고 있는 챗GPT와 ‘DALL-E2’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은 그동안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지적노동 역시 자동화되고 대량생산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계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는 미래가 멀지 않아 보이는 오늘날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 지구에서 인간이 더 이상 가장 똑똑한 존재가 아닌 미래시대에 인간의 가치와 역할은 과연 무엇일까?
2023년 06월 19일

특집: 초거대 AI의 미래(4)
AI의 금융·경영의 활용과 경영의 미래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최근 챗GPT의 등장과 함께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그 중 실제 경영에 AI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도 개인과 기업 입장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AI를 경영에 활용함에 있어서는, 조직의 변화가 없이는 기존 기술 도입의 실패 사례를 반복하게 되므로, 조직의 변화 방식을 고려하는 것이 성공의 전제 조건이다. 개인차원에서도 AI를 활용하기 위하여 개인이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어떤 능력을 준비하여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2023년 07월 03일

특집: 초거대 AI의 미래(5)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본 챗GPT의 현재와 미래

인간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 구현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라 생각했던 자연어처리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챗GPT로 대표되는 초거대 AI 기술은 산업 전반에 활용되며 인간의 생산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여러 한계를 드러내고도 있다. 본 원고에서는 챗GPT와 관련된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기술혁신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기술혁신 패턴을 제시하는 파괴적 혁신, 기술수용모델, 하이프사이클, 캐즘이론을 통해 챗GPT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사회와 공존하는 초거대 AI기술 개발에 필요한 사항을 살펴본다.
2023년 08월 07일

특별기획: 초거대 AI의 미래(6)
챗GPT 활용 스마트 행정

이전에는 인간이 기계어를 배웠으나 지금은 기계가 인간의 언어를 학습한다. 네오 인터페이스(Neo Interface)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챗GPT는 인공지능이 일상 속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에서도 대규모 언어 모델을 행정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용이 쉽고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 분야에서 먼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성과에 대한 검증·공유·전파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확산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과연 챗GPT는 스마트 행정 실현과 지능형 지방정부 구축의 발판이 될 수 있을까?
2023년 08월 14일

특별기획: 초거대 AI의 미래(7)
의료의 미래,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는 최근 가장 유망한 산업 분야로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이 광범위한 건강관리에 활용되는 영역이다. 앞으로 디지털 기술은 더욱 발전되어 의료 서비스와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필자가 의료현장에서 느끼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황과 디지털 기술을 잘 활용하기 위한 의료진과 사용자의 현명한 태도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