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1월 10일

특집(2) 설문조사: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동북아에서 동남아로 인식의 지평 확대 *

“아시아에 새로운 시대가 오는가”를 대주제로 내걸고 기획한 신년 특집을 위해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아시아의 현실과 장래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 것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의 아시아 정체성, 아시아 전반에 대한 이미지, 아시아의 여러 지역과 국가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 한국과 주요 국가 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 한국인의 아시아 문화 경험, 아시아의 장래에 대한 전망 등을 조사하였다. 이제 설문조사 결과 중에서 주목할 만한 점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 전반에 걸친 분석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2022년 01월 12일

특집(2) 설문조사+SNS분석
코로나19로 잠식당한 일상 에도 인권과 국제협력 추구 2021
아시아 이슈에 관한 소셜미디어와 설문조사 비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는 격랑의 2021년을 마무리하며 아시아 10대 이슈를 정리하였다. 먼저 아시아연구소와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하여 아시아지역의 10대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전문가가 선정한 아시아 10대 이슈에 대한 여론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와 소셜미디어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아시아연구소와 외부 전문가가 선정한 10대 이슈를 제시하고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각 이슈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바이브(VAIV)에 의뢰하여 트위터(Twitter)와 신문기사 등 총 40 여 억 건의 자료를 대상으로 전문가 선정 아시아 10대 뉴스와 관련한 반응도를 살펴보고 관련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2022년 09월 26일

아시아인의 삶에 대한 의식: 최근 10개국 설문 조사 결과 분석

한국리서치가 칸타(Kantar) 그룹의 의뢰로 매년 실시하고 있는 TGI-GQV(Target Group Index-Global Quick View) 의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근대화로 인한 엄청난 사회변동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인은 여전히 인간관계와 전통적인 관습을 매우 존중한다. 한편 아시아인은 창의적이거나 모험적이라고 스스로 생각하지는 않으나, 변화에 적응하여 더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도전정신은 강하다. 이들은 젊게 보이고 싶으나 유행에 민감하지는 않고, 스스로 신앙심이 강하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2023년 01월 17일

신년 기획(2): 2022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설문조사 결과 분석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공고한 아시아 정체성, 국제관계에 따른 인식의 변화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조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전 세계, 그중에서도 특히 아시아를 어떤 시선에서 바라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조사에서는 아시아 지역 선호도 및 아시아 정체성, 아시아 전반에 대한 이미지, 아시아 주요 지역별·국가별 선호도 등을 물었다(조사 기간: 2022년 12월 6일~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대상,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활용한 웹 조사 방식). 조사 결과 중 주목할 만한 점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