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3일

2024 아프리카 회고: 아프리카의 2024년과 아시아

2024년은 국제적으로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컸던 한 해였다. 글로벌 공급망 경쟁 속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이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다자회의를 열었다. 아프리카 지역의 빈곤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 당면한 과제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이 33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또한, 아프리카 주요국(세네갈, 보츠와나, 모리셔스, 가나, 소말릴랜드)에서 일어난 정권 교체의 결과는 아프리카 내부 변화의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2025년 03월 01일

트럼프 2기, 아시아 지역 내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중국과의 디커플링(decoupling)에 초점을 맞췄던 트럼프 1기와 달리 보다 광범위한 국가들과 경제적 관계 재설정을 꾀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 정책이 예상보다 한층 강도 높게 휘몰아치고 있다. 미국의 강화된 자국 우선주의 및 리쇼어링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의 규모 축소와 소수 집중성을 높일 개연성이 크다. 한편, 중국을 위시해, 동아시아 국가들은 미-중 갈등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공급망 다변화 및 대미 투자 확대 전략을 추진 중이다. 제조업 탈중국과 함께 글로벌 제조 공급망에 본격 편입되고 있는 아세안 국가들의 연쇄적이지만 전략적인 직접 투자 유지 기조도 지역 공급망 재편의 주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트럼프 2기 급진적이면서도 모호성이 높은 정책 변화가 촉발하고 있는 국가 간, 초국적 기업 간 새로운 경쟁과 협력 속에 전환기 아시아 및 글로벌 공급망은 한층 복잡하고 불확실한 각축의 장으로 전개될 개연성이 크다.